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- 우아한레디스
- C#
- 토마토
- BOJ
- Window-Via-c/c++
- 제프리리처
- 에러핸들링
- 김영한
- 10026번
- inflearn
- 이펙티브코틀린
- OS
- n타일링2
- 열혈 TCP/IP 소켓 프로그래밍
- HTTP
- Operating System
- FIFO paging
- 스프링 핵심 원리
- TCP/IP
- 2475번
- redis
- 스프링 입문
- Four Squares
- 운영체제
- Spring
- Operating System.
- 열혈 tcp/ip 프로그래밍
- 윤성우 저자
- 우아한 테크 세미나
- C++
- Today
- Total
나의 브을로오그으
#4-5. [스프링 핵심 원리-기본편] - 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본문
스프링 빈 설정 메타 정보 - BeanDefinition
- 스프링은 어떻게 이런 다양한 설정 형식을 지원하는 것일까? 그 중심에는 BeanDefinition이라는 추상화가 있다.
- 쉽게 말하면 역할과 구현을 나눈것.
* XML을 읽어서 BeanDefinition을 만든다.
* 자바 코드를 읽어서 BeanDefinition을 만든다.
*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코드인지, XML인지 몰라도 된다. 오직 BeanDefinition만 알면 된다.
- BeanDefinition을 빈 설정 메타정보라 한다.
* @Bean <bean> 당 각각 하나의 메타 정보가 생성된다.
- 스프링 컨테이너는 이 메타정보를 기반으로 스프링 빈을 생성한다.
- ApplicationContext를 구현한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는 AnnotatedBeandDefinitionReader를 가지고 있다. 그리고 이것으로 ac의 생성자 인자로 넘긴 클래스 타입 AppConfig.class를 읽어서 BeanDefinition을 생성한다.
- GenericXmlApplicationContext는 XmlBeanDefinitionReader를 사용해서 appConfig.xml 설정 정보를 읽고 BeanDefinition을 생성한다.
- 새로운 형식의 설정 정보가 추가되면, XxxBeanDefinitionReader를 만들어서 BeanDefinition을 생성하면 된다.
[BeanDefinitionTest]
package hello.core.beandefinition;
import hello.core.order.AppConfig;
import org.junit.jupiter.api.DisplayName;
import org.junit.jupiter.api.Test;
import org.springframework.beans.factory.config.BeanDefinition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annotation.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;
import org.springframework.context.support.GenericXmlApplicationContext;
public class BeanDefinitionTest {
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=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(AppConfig.class);
// GenericXmlApplicationContext ac = new GenericXmlApplicationContext("appConfig.xml");
@Test
@DisplayName("빈 설정 메타정보 확인")
void findApplicationBean() {
String[] beanDefinitionNames = ac.getBeanDefinitionNames();
for (String beanDefinitionName : beanDefinitionNames) {
BeanDefinition beanDefinition = ac.getBeanDefinition(beanDefinitionName);
if (beanDefinition.getRole() == BeanDefinition.ROLE_APPLICATION) {
System.out.println("beanDefinitionName = " + beanDefinitionName +
" beanDefinition = " + beanDefinition);
}
}
}
}
정리
- BeanDefinition을 직접 생성해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할 수도 있다. 하지만 실무에서 BeanDefinition을 직접 정의하거나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.
- BeanDefinition에 대해서는 너무 깊이있게 이해하기 보다는, 스프링이 다양한 형태의 설정 정보를 BeanDefinition으로 추상화해서 사용하는 것 정도만 이해해도 된다.
- 가끔 스프링 코드나 스프링 관련 오픈 소스의 코드를 볼 때, BeanDefinition 이라는 것이 보일 때가 있는데 이러한 매커니즘을 떠올리면 된다.
- beanDefinition에 등록하는 방법은 팩토리 메소드를 이용한 방법과 직접 등록하는 방법이 있다. AppConfig를 두어서 빈을 등록하는 방법은 팩토리 메소드 방식이다. 실제 구현체를 어떤것을 반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이다.
'Spring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5-2. [스프링 핵심 원리-기본편] - @Configuration과 싱글턴 (0) | 2022.07.21 |
---|---|
#5-1. [스프링 핵심 원리-기본편] - 싱글턴 패턴 (0) | 2022.07.21 |
#4-4. [스프링 핵심 원리-기본편] - 다양한 설정 형식 지원 (0) | 2022.07.19 |
#4-3. [스프링 핵심 원리-기본편] - BeanFactory와 ApplicationContext (0) | 2022.07.19 |
#4-2. [스프링 핵심 원리-기본편] - 스프링 빈 조회 (0) | 2022.07.19 |